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과 중국의 상호관세 전쟁에서 누가 승리할까?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by choochooshadow 2025. 4. 10.
반응형

미국과 중국의 상호관세 전쟁이 한치앞을 내다볼수 없을정도로 격화되고 있습니다.

여러나라에 관세 관련 선전포고를 하고 반응을 지켜보던 트럼프 대통령은 가장 격하게 반응한 중국의 보복관세 + 미국기업제재 등에 한치의 양보도 없이 맞대응 중입니다.

 

과연 끝도 없이 치닫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상호관세 전쟁에서 과연 누가 승리(?)를 할것인지...

또 이러한 관세전쟁으로 인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USA china trade war

 

1)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에서 누가 더 손해를 많이 볼까?

중국과 미국 간의 관세 전쟁은 양국 모두에게 손해를 끼치는 구조입니다.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입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 부담이 증가합니다.

  1. 미국: 일부 미국 기업들은 중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높은 관세를 지불해야 하며, 이는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전자제품, 의류, 식품 등의 분야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에 대한 수출이 감소하면 미국 기업의 매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2. 중국: 미국 시장에 의존하는 중국 제조업체들은 수출 감소로 인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으로의 수출 비율이 높은 산업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일자리 상실과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양국 모두 서로의 관세 정책에 따라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며, 특정 산업과 지역이 더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세 전쟁의 최종 결과는 여러 경제적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외교적인 해결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USA CHINA Tariffs war USA CHINA Tariffs war

2) 미국은 중국에 125%의 관세를, 중국은 미국에 84%의 관세 + 미국기업제재안을 발표했는데 과연 최호의 승자는 누구일까?

 

관세 전쟁에서 누가 "이기는지" 판단하는 것은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에 1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미국에 84%의 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세의 효과: 미국의 높은 관세는 중국산 제품의 가격을 급등시켜 수요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중국의 관세도 미국 제품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산업 구조: 각국의 산업 구조에 따라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기술과 고급 제조업에 강점을 가지며, 중국은 대량 생산과 저렴한 제품 신속 공급을 통해 이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3. 소비자와 기업의 부담: 높은 관세는 소비자에게 추가 비용을 발생시킵니다. 이는 소비자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외교적 및 경제적 관계: 관세 전쟁이 지속되면서 양국 간의 외교적 긴장과 불확실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투자자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관세 전쟁은 단기적으로 두 나라 모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며, 누가 '이기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은 경제적 통계, 산업적 특성, 외교적 관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협상이 이루어지고 관세가 완화되는 것이 양국 모두에게 유리할 것입니다.

 

 

 

apple huawei

3)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에서 나라별 어떤기업들의 피해가 가장 심각할까?

미국 기업:

  1. 애플(Apple): 중국에서 제조되는 아이폰과 기타 제품에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상승이나 매출 감소가 우려됩니다.
  2. 보잉(Boeing): 중국은 보잉의 항공기 주요 시장 중 하나로, 관세가 부과되면 중국에서의 판매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월마트(Walmart): 많은 제품이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어, 관세 상승으로 인한 제품 가격 증가가 소비자 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소프트웨어 외에도 하드웨어 제품에서 중국 제조업체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의 부담을 겪을 수 있습니다.
  5. 스타벅스(Starbucks): 중국에서의 원자재와 소비재 수입에 영향을 받아 가격 상승과 판매 감소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중국 기업:

  1. 화웨이(Huawei):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가 제한되고 높은 관세로 인해 대미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중국항공(CAPA): 미국산 항공기와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관세 증가로 비즈니스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3. 하이얼(Haier): 미국에서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데 있어 높은 관세가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텐센트(Tencent): 미국 시장에서의 게임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고, 관련 제품에 관세가 부과되면 매출에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BYD: 전기차와 배터리 제조업체로, 미국 시장 진출 시 높은 관세로 인한 판매 감소가 우려됩니다.

 

 

 

USA CHINA KOREA

4)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우리나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일까?

미-중 간 높은 관세 부과(미국이 중국에 125%, 중국이 미국에 84%)는 한국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요 영향:

  1. 글로벌 공급망 재편: 한국 기업들은 생산 기지를 재배치하거나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할 수 있습니다.
  2. 수출 영향: 한국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 미국 시장 모두에서 불확실성 증가. 특히 한국 제품이 중국에서 가공 후 미국으로 수출되는 경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산업별 영향:
    • 반도체: 미-중 기술 갈등 속에서 한국 기업들은 양국 시장에서 입지 확보에 어려움
    • 자동차: 부품 조달 및 완성차 수출에 영향
    • 전자제품: 중간재 가격 상승으로 생산 원가 증가
  4. 우회 수출 기회: 미-중 간 무역 장벽으로 인해 한국 제품이 대체재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5. 외국인 투자 영향: 불확실성 증가로 한국에 대한 투자 심리 약화 가능성 부분도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트럼프, 對中관세 125%로 올리며 韓 비롯 70여개국은 90일 유예(종합) |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의 상호 관세에 맞대응하자 관세를 125%로 인상했습니다. 반면, 한국을 포함한 70여 개국에 대해서는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했습니다. 이는 미국에 대한 무역 장벽 해소를 위한 협상에 나선 국가들에 대한 유화적인 제스처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다른 국가들에 대한 차별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줍니다.

 

이들의 끝없는 랠리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반응형